본문 바로가기
사회

복지부, 설 명절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 제공


보건복지부는 설명절 기간 중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높은 실내 봉안시설 등의 성묘객 분산 및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이동제한을 고려, 지난해 추석기간에 제공한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의 기능을 개선해 18일부터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추석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를 찾은 인원은 23만552명에 달했습니다.

 

 

국민 누구나 무료로 이용이 가능한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는 추모(성묘)와 소통의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했으며 이에 따라 거주지역(국내·외)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차례상 꾸미기·지방쓰기·다양한 추모기능(글·음성·영상) 활용 및 가족 간 공유도 가능합니다.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보면 ‘추모관 꾸미기’ 에서는 안치 사진 등록, 다양한 차례 음식 선택 및 배치를 통해 차례상 꾸미기와 지방쓰기가 가능하며 추모 음성메시지 녹음 및 추모 영상을 등록해 사회관계망서비스(이하 SNS)를 통해 가족 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명절 기간 장사시설을 찾지 못하는 이용객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해 지자체 추천을 통해 전국 22개 장사시설 소개 영상(전경→안치장소까지의 이동)도 함께 제공합니다.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에 가입해 안치사진 신청(25일~ 2월 10일) 기간을 이용하면 장사시설로부터 고인의 실제안치 모습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고득영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코로나19 감염·확산방지를 위해 지자체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등 방역지침을 준수해 국민 모두가 행복하고 따뜻한 설 명절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문의: 보건복지부 노인지원과(044-202-3473)

 

sky.15774129.go.kr

 

보건복지부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sky.15774129.go.kr

보건복지부의 온라인 추모 서비스를 활용하면 직접 가지 않아도 추모와 성묘가 가능합니다.

 

작년에도 20만명이 넘게 방문했다고 하니 코로나 시대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요새 교회의 예배도 거의 온라인으로 진행되는데 이동을 자재하는 것은 타인을 위한 배려이기도 합니다.

 

 

*출처:

 

복지부, 설 명절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 제공 - 정책포커스 | 기획&특집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