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기념사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3월1일 취임 후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첫 3.1절 기념사를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우리는 104년 전에 국가적인 위기 상황을 겪으며 국가의 패배와 고통을 겪었다. 현재는 전 세계적인 위기 상황과 북한의 핵 위협, 그리고 사회적인 양극화 등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고민해 봐야 합니다."고 말햇습니다.
일본에 관하여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 경제 등 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현재 복합위기와 북핵위협 등에 한미일 3자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관방장관 답변
윤석열 대통령의 연설에 대해서 일본의 관방장관의 답변입니다.
마쓰노 관방장관:
"우리나라에게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해야 할 중요한 이웃 국가입니다"
"한일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다"
*일본의 관방장관: 총리와 각 부처를 연결하는 내각의 총괄. 내각의 서열 2위에 해당(총리 유고시 대행)
일본의 언론에서는 3.1절 연설을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기념식 연설이라고 부릅니다. 야후 등 일본인들의 댓글에서는 이명박 대통령과 같은 과거 대통령 중에도 일본이 파트너라고 말했으나 독도문제 등에서 일본과 분쟁한 사례가 있었기에 향후 윤 대통령을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 등이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징용공(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정부 산하 재단이 피고인 일본 기업을 대신해 배상금을 지급하는 해결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원고 측의 설득과 일본 정부와의 협상을 진행 중이기 때문에 연설에서는 일본측을 자극하는 민감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일본은 파트너라는 이 반응에 대해서 국내 언론은 강제동원 배상 문제의 현안이나 과거사 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야권은 "역대 최악의 대통령 기념사"라는 평이고 여당은 "미래지향적 기념사"라는 반응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3.1절 기념사 전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750만 재외동포와 독립유공자 여러분
오늘 백네 번째 3.1절을 맞이했습니다.
먼저,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104년 전 3.1 만세운동은 기미독립선언서와 임시정부 헌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민이 주인인 나라, 자유로운 민주국가를 세우기 위한 독립운동이었습니다.
새로운 변화를 갈망했던 우리가 어떠한 세상을 염원하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날이었습니다.
그로부터 104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합니다.
지금 세계적인 복합 위기, 북핵 위협을 비롯한 엄혹한 안보 상황, 그리고 우리 사회의 분절과 양극화의 위기를 어떻게 타개해 나갈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우리가 변화하는 세계사의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미래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될 것이 자명합니다.
아울러 우리는 그 누구도 자기 당대에 독립을 상상하기도 어려웠던 시절에, 그 칠흑같이 어두운 시절에,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던진 선열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조국이 어려울 때 조국을 위해 헌신한 선열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면 우리에게 미래는 없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3.1운동 이후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특히, 복합 위기와 심각한 북핵 위협 등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우리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서 우리와 세계시민의 자유 확대와 공동 번영에 책임있는 기여를 해야 합니다.
이것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우리 선열들의 그 정신과 결코 다르지 않습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가 이룩한 지금의 번영은 자유를 지키고 확대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보편적 가치에 대한 믿음의 결과였습니다.
그 노력을 한시도 멈춰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것이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선열에게 제대로 보답하는 길입니다.
영광의 역사든, 부끄럽고 슬픈 역사든 역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가 우리의 미래를 지키고 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는 조국을 위해 헌신한 선열을 기억하고 우리 역사의 불행한 과거를 되새기는 한편, 미래 번영을 위해 할 일을 생각해야 하는 날이 바로 오늘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우리 모두 기미독립선언의 정신을 계승해서 자유, 평화, 번영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갑시다.
감사합니다, 여러분.
기념사전문 출처:
윤 대통령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3자 협력, 어느 때보다 중요”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우원 KBS 더라이브 풀 스크립트 - 광주 518 사죄한 전두환 손자의 증언 (0) | 2023.04.06 |
---|---|
이재명 당대표 본회의 연설 전문 - 이재명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 직전 (1) | 2023.02.28 |
한동훈 장관 본회의 연설 전문 -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요청 이유 (0) | 2023.02.28 |
조국 딸 조민 얼굴공개 '이제 조민으로 살겠다' / 조민 인스타 공개 / 김어준의 뉴스공장 유튜브 단독 인터뷰 (0) | 2023.02.06 |
신조 아베 일본 전 총리 괴한의 총격으로 병원에서 사망 - 향년 67세 (1) | 2022.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