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용어
CPM 광고
[정의]
CPM은 cost per 1000 impressions 의 약자로 1000번 노출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1000번 노출되면 광고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광고게시자 입장에서는 1000번 노출되면 광고수익이 발생합니다. 계산은 어렵지 않습니다.
노출 수가 1만이고 CPM이 1달러다 그러면 10번의 1달러니까 10달러죠.
[의미]
예를들어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측이 광고게시자입니다.
노출수가 중요하니까 웹페이지에 최대한 많은 광고를 삽입하려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효과없는 위치에 광고를 도배하고 노출이 되었으니 광고료를 주시오~ 라고 하면
구글이나 광고주 측이 가만히 있을리가 없겠죠?
또 실제로 광고를 클릭해서 거래가 이루어 지지 않아도 광고료가 지불되므로 성과에 대한 평가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CPM 광고는 안들어갑니다.
구글 애드센스에는 다음과 같은 실적 확인 코너가 있습니다.
잘 보시면 CPC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는 티스토리에서 CPC 방식으로 게재된다는 말이죠.
CPM은 유튜브 방식
유튜브는 재생기반 CP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튜브가 광고를 끝까지 보라는 말 여러번 들어보셨을 것 입니다.
짧은 광고가 있고 긴 광고가 있죠. 광고 동영상이 1000회 재생되면 CPM을 광고주가 지불합니다.
유튜브의 광고라고 하면 다른말이 없다면 애드센스의 CPM입니다.
CPC 광고
[정의]
CPC는 Cost per click 의 약자로 클릭당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광고주의 입장에서 100번 클릭한다면 단가 / 1번 클릭 을 계산해서 구글에 지불해야 합니다.
광고게시자의 입장에서 보면 광고를 많이 노출해도 실질적으로 클릭한 부분에 대하여 금액을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의미 - 티스토리 CPC]
티스토리 블로그의 애드센스는 기본적으로 CPC 입니다.
주의할 점은 CPC 단가에는 시세가 있어서 업종에 따라 매일 달라집니다.
광고주들이 경매 시스템을 통해 지불한 금액만큼의 광고를 하게됩니다.
예를들어 1클릭에 1000원이다고 하면 만원을 내면 내 광고에 10번 클릭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에도 당연히 당일의 CPC 단가가 나와있고 아래의 구글 키워드 플래너에는 입찰가가 나와있습니다.
이 입찰가가 1회 클릭당 광고주에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광고를 게재하는 티스토리 입장에서는 CPC가 커야 한번의 클릭에도 많은 돈을 받을 수 있겠죠?
흔히 블로그 강의에서 광고 단가가 중요하다는 것은 CPC가 비싸야 좋다는 말입니다.
CPA 광고
[정의]
CPA는 Cost per action 의 약자로 하나의 행동을 단위로 나가는 비용을 말합니다.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한 건의 액션(예를 들어 보험상담, 성형수술 상담)이 일어나면 정해진 광고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광고게시자의 경우 노출과 클릭까지 해도 최종 액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익이 없습니다. 여기서 액션은 정의하기 나름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광고게시자의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CPA에 기록을 남기고 성형수술 상담을 했다. 는 액션이 실제로 일어나면 광고료를 지불합니다.
[의미]
예상이 가능하겠지만 광고를 클릭해서 상담하거나 하는 행위는 자주 일어나지 않습니다. 허나 그만큼 고단가입니다.
애드센스에서는 기본적으로 CPA 선택 옵션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CPA대행사에 의뢰하는 구조로 광고할 수 있습니다.
광고게시자의 입장에서 보면 CPA는 고관여 광고이기 때문에 블로그의 전문성과 관련되어야 할 것 입니다.
예를 들어 애견샵 CPA 광고를 한다면 분양 상담 1건에 2000원 이런 형태도 가능합니다.
측정은 CPA DB로 합니다. 보험이나 재무설계같은 금융쪽이 비쌉니다. 아무래도 금융상품의 건당 수익이 크기 때문이겠죠.
그밖에 CPS, CPI
CPS 광고
CPS 는 Cost per Sales 의 약자로 쿠팡파트너스가 바로 Cost per Sales 말 그대로 링크를 타고 들어가 제품을 구매하면 제품 구매액의 %로 얻습니다. 제휴마케팅이라고도 하죠.
한때 수익인증 열풍이 불었는데 지금은 시들었는지 조용히 하는 것 같습니다.
제품 리뷰같은 것을 하면 구매하기 쉽기 때문에 블로그에는 쿠팡파트너스가 잘 맞는 종목입니다.
허나 너무 심하게 하면 저품질의 골짜기로 간다는 경우가 많아서 대놓고 하는 사람은 요새는 많이 없어졌습니다.
쿠팡과 네이버에 분쟁이 있는 것을 보니 네이버 알고리즘도 네이버 스토어에 유리하게 바뀐 듯 하네요.
뭐 각자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니까 당연한 겁니다.
CPS 는 Sales 매출이 일어나야 된다는 점을 알고 있으면 됩니다.
CPI 광고
CPI 는 Cost per Install 의 약자로 설치 당 비용이 정해진 광고입니다.
설치는 앱이나 소프트웨어의 설치입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예를 들어 1개에 3000원으로 정하고 100개를 설치하겠다면 30만원을 내면 됩니다.
광고게시자 입장에서는 역시 클릭까지는 소용없고 설치까지 가야 돈이 나오는 거죠.
CPC 보다 관여도가 높기 때문에 CPC보다는 단가가 높습니다.
모바일게임을 하다보면 나오는 광고들에 그런 조건을 걸 수가 있습니다.
CPA와 CPS, CPI는 어떤 액션(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점에서 닮은 듯 보이네요.
이상 광고용어를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에 글쓰는 방법 | 블로그 글쓰기 밑바닥 부터 (0) | 2021.01.10 |
---|---|
워드프레스란 무엇인가? 2021 워드프레스 / 티스토리 전망 (0) | 2021.01.10 |
네이버 블로그를 다음 검색에 등록하기 (0) | 2021.01.10 |
블로그의 유래 |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 (0) | 2020.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