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중국 기계약 요소 1만8700t 수입절차 진행 - 가격은 연초대비 3배로 증가


 

한국 기업들이 중국 측과 계약한 요소

1만8700t가 수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국내 소요량의 2-3개월

정도에 해당하는 물량입니다.

외교부는 10일 "중국산 요소 수입절차의 

조속한 진행을 위해 다양한 채널로 중국 측과

 소통한 결과, 우리 기업들의 기계약 물량

 1만8700t에 대한 수출 절차가

 진행될 것임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수출 전 검사를 신청한

일부 요소 물량의 검사가 완료됐다는 것도

중국 현지 공관에서 확인했다고 합니다.

 

요소수의 요소 함량은 약 30%로

요소수 5만6000t 정도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입니다.

국내에서 자동차가 1개월 동안 사용하는

요소수는 2만5000t 정도로 산업계를

제외하면 2-3개월 물량은 됩니다.

 

중국은 최근 자국 내 석탄·전력난으로

요소 물량이 부족해지자 수출 전 검사를

의무화하며 수출 제한을 걸었습니다.

 

외교부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이미

계약했지만, 중국으로부터 들여오지

못하고 있는 요소 도입을 위해

중국 측과 집중적 교섭을 해왔는데

1만8000t 기계약 물량 중

일부 물량을 출고할 경우

몇개월간 숨통이 트이게 됩니다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또 연초대비 3배 이상 상승한 가격으로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 안정이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요소 수출가격은 톤당 300달러

중반으로 현재는 톤당 1000달러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수출제한 조치는 지난 10월11일 부터

중국 해관총서에서 요소에 대한

수출 검역 관리방식을 변경한다고

공고하면서 부터입니다.

 

요소는 디젤 화물과 시멘트 공장 등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수를 만드는

원재료로 한국은 요소를 수입물량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물류운행 및

관련 산업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요소수의 소매 가격은 10배 이상

올랐지만 품귀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요소생산 자체는 국내에서 기술이

축척되어 있어서 자체 생산이 가능한

제품이라고 합니다. 다만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납사를 가공한 국내

요소업체들은 경쟁력에서 값싼 중국의

석탄 추출 방식에 밀려서 10년전에

기업체들이 생산을 중단한 역사가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 탈탄소를 위해 석탄 생산을

줄이면서 요소 생산도 줄게 되었고

요소수 품귀현상을 막을 방법 중에는

일부 물량을 자체 생산하는 것도 있습니다.

생산시설을 다시 확보하고 재개할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합니다만, 중국과 러시아 등

석탄과 천연가스가 풍부한 나라들에 비해

자원 수급이 불안정하므로 정부의 보증없이

기업체가 손해를 감수하면서 까지

뛰어드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입니다.

 

현재의 위급한 상황을 보면

요소는 전략적 물자로 정부가 규정하여

지원하는게 타당하다고 보이는데요.

안그러면 화물 노동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또 요소수가 없으면 쓰레기도 태울 수 없기

때문에 환경 공해적으로도 문제가 됩니다.

 

지금 급하게 수입 물량을 가져오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탈탄소를 지향하는 중국이

장기적으로 요소생산을 줄인다는 가정하에

자체 생산까지 고려해야 할 시점입니다.

728x90

댓글